1. 행위능력자의 개념행위능력자란, 독자적으로 유효한 법률행위를 할 수 있는 사람을 의미합니다.즉, 법률적으로 중요한 계약, 재산 처분 등의 행위를 스스로 결정하고, 법적 책임을 질 수 있는 사람을 말합니다.✅ 예시성년자(만 19세 이상)가 부동산 매매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회사 대표이사가 계약을 체결하는 경우법적으로 제한받지 않는 정상적인 성인이 대출 계약을 맺는 경우✅ 반대 개념: 무능력자(行爲無能力者, Incapacitated Person)미성년자, 한정치산자(과거 개념), 성년후견을 받는 사람 등은 독자적으로 법률행위를 할 수 없거나 제한됩니다.2. 행위능력자의 요건✅ (1) 연령 요건 (민법 제4조, 제5조)만 19세 이상(성년자): 완전한 행위능력 인정미성년자(만 19세 미만): 법정대리인의 동..
1. 파산관재인의 개념파산관재인은 법원이 선임하여 파산자의 재산을 관리·처분하고, 채권자들에게 공정하게 배당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자입니다.채무자가 파산선고를 받으면 법원은 파산절차를 진행하기 위해 파산관재인을 임명합니다.파산관재인은 파산자의 재산을 조사·환가(현금화)하고, 채권자들에게 배당하는 업무를 담당합니다.✅ 예시A가 파산신청을 하여 법원이 파산선고를 내리고, 파산관재인 B가 선임됨.B(파산관재인)는 A의 재산을 조사하고, 이를 매각하여 채권자들에게 공정하게 분배함.A는 B의 허가 없이 재산을 처분할 수 없으며, B가 파산절차를 총괄함.2. 파산관재인의 법적 근거 (채무자 회생 및 파산에 관한 법률, 약칭 "채무자회생법")✅ (1) 파산관재인의 선임 (채무자회생법 제303조)법원은 필요하다고 인정하..
1. 상린관계의 개념상린관계란, 인접한 토지 소유자(또는 점유자) 간의 법률관계를 의미합니다.서로 인접한 토지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므로, 토지 이용에서 발생하는 충돌을 조정하기 위해 민법에서 상린권을 규정하고 있습니다.✅ 예시A와 B의 토지가 붙어 있는데, A가 집을 지으면서 B의 일조권을 침해하는 경우C의 토지가 낮아서 D의 토지에서 빗물이 흘러 내려오는 경우E가 자신의 토지를 이용하려면 F의 토지를 통과해야 하는 경우2. 상린관계에 대한 민법 규정(민법 제219조~제244조)✅ (1) 인접지 소유자의 토지 이용에 관한 의무 (민법 제219조~제221조)제219조(인접한 토지의 사용권)토지 소유자는 필요한 경우 이웃 토지를 일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손해를 보상해야 한다.제220조(경계..
1. 비진의표시의 개념비진의표시란, 표시된 의사와 실제 내심의 의사가 불일치하는 경우를 말합니다.즉, 말이나 행동으로는 어떤 의사표시를 했지만, 실제로는 그와 다른 의도를 가진 경우를 의미합니다.✅ 예시A가 친구 B에게 "네게 내 집을 팔겠다"고 말했지만, 실제로는 팔 생각이 없던 경우C가 회사에 사직서를 제출했지만, 진심으로 퇴사할 생각은 없던 경우D가 형식상으로만 부동산을 증여하는 계약을 체결했지만, 실질적으로 소유권을 넘길 의사가 없던 경우2. 비진의표시에 대한 민법 규정 ✅ 민법 제107조(비진의표시)① 의사표시는 표의자가 진의 아님을 알고 한 것이라도 그 효력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② 그러나 상대방이 표의자의 진의 아님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때에는 그 의사표시는 무효로 한다.✅ 해석원칙적..
1. 명의신탁의 개념부동산 명의신탁이란, 실제로 소유권을 가진 사람이 제3자의 명의로 부동산을 등기하는 행위를 의미합니다.즉, "실제 소유자(신탁자)"와 "명의만 빌려주는 사람(수탁자)"이 다릅니다.명의신탁은 법률상 강력하게 규제되며, 원칙적으로 무효입니다(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 약칭 "부동산실명법").✅ 예시A가 투기 규제를 피하려고 B의 명의로 부동산을 등기한 경우A가 채권자의 압류를 피하기 위해 C의 명의로 부동산을 등기한 경우A가 미성년자인 자녀 D의 명의로 부동산을 등기한 경우2. 부동산 명의신탁의 유형유형설명법적 효력1. 계약명의신탁매도인과 계약은 신탁자가 하고, 등기는 수탁자 명의로 함무효 (부동산실명법 위반)2. 단순명의신탁기존 소유자의 부동산을 수탁자 명의로 등기무효 (부..
1. 권원의 개념권원이란 법률상 특정한 권리를 주장할 수 있는 근거가 되는 원인 또는 법적 근거를 의미합니다.쉽게 말해, "내가 이 물건이나 권리를 가질 수 있는 법적 이유"입니다.✅ 예시A가 B에게 토지를 매매한 경우 → A는 "매매계약"을 권원으로 토지를 소유A가 부동산을 상속받은 경우 → A는 "상속"을 권원으로 부동산을 소유A가 B의 부동산을 임차한 경우 → A는 "임대차계약"을 권원으로 점유2. 권원의 법적 의미✅ 민법에서 권원의 역할점유, 소유, 채권, 물권 등 다양한 법적 관계에서 권원은 권리의 정당성을 판단하는 중요한 기준입니다.점유취득시효, 소유권 주장, 계약이행 등에서 권원의 유무는 법적 효력에 영향을 미칩니다.✅ 대법원 2008.4.24. 선고 2007다89709 판결"점유자가 적법한..